Skip to content

조국 사랑 미주연합

박근혜 전 대표 하버드대 특강 전문

2010.08.25 04:12

관리자 조회 수:2543

c_20070214_44554_64903.jpg

 

박근혜 전 대표 하버드대 특강하는 모습




강연 전문


< 대한민국과 미국, 함께 나눌 미래 >
Harvard Kennedy School / Arco (John F. Kennedy Junior) Forum
((
영어 강연냉용의 한글번역))


존경하는 빌 화이트 정치학연구소 소장님, 데이비드 맥칸 한국학연구소 소장님, 앤토니 사이치 아시아센터 소장님, 그리고 신사 숙녀 여러분,

미국의 산 역사이며 세계의 명문대학인 Harvard 대학의 교수님과 학생 여러분과 소중한 대화의 시간을 갖게 되어 큰 영광입니다.

Harvard
대학은 한국과도 깊은 인연이 있는 학교입니다.
한국의 초대 대통령인
이승만 대통령께서 바로 이 곳 Harvard에서 역사를 공부하셨습니다.
한국인 최초의 UN 사무총장인 반기문 총장도 여러분의 자랑스러운 동문입니다
.

우리 한나라당에도 Harvard 졸업생들이 눈부신 활약을 하고 있습니다.
특히 이 곳 Kennedy School of Government에서 공부한 국회의원만 한나라당에 세 분이나 있는데, 모두 한나라당의 소중한 보배들입니다. (박진 MPP, 권영세 MPA, 박재완
Ph.D)
그 중 두 사람이 저와 같은 Park
입니다.

제 아버지는 1961년 백악관에서 Kennedy 대통령과 회담을 가졌습니다.
세계 최강대국 미국의 대통령과 1인당 국민소득 100달러도 안되는 아시아 최빈국 지도자의 만남이었지만, 두 분은 자유진영이 공산주의에 맞서 반드시 승리할 것이라는 확신을 가졌습니다
.
그리고 오늘 대한민국이 새로운 안보 질서의 도전에 직면한 상황에서, 그 딸이 Kennedy School을 찾아왔습니다
.

한국인들은 옷깃만 스쳐도 인연이라고 여깁니다.
그만큼 한국인들은 만남과 인연을 소중하게 생각합니다
.
오늘 저도 Harvard Kennedy School과 좋은 인연을 맺게 되었으니 앞으로 여러분께서 저를 한 식구처럼 생각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


존경하는 신사 숙녀 여러분,
저는 오늘 여러분과 함께, 대한민국과 미국이 함께 나눌 미래에 대한 말씀을 드리려고 합니다
.

저는 한국의 딸로서 대한민국의 60년 역사를 자랑스럽게 생각합니다.

한국은 식민지배에서 해방 후, 분단의 고통과 전쟁의 참화까지 겪었습니다.
온 나라가 폐허가 되고 수백만이 죽거나 다쳤던 참혹한 시간이었습니다
.
그러나 대한민국은 그 큰 상처를 딛고 일어섰습니다
.

1961
년에 1인당 국민소득 82달러에 불과했던 한국이 올해는 국민 소득 2만 달러를 눈앞에 두고 있습니다.
1964
1억달러였던 한국의 수출액은 작년에 3천억달러를 돌파했습니다
.
겨우 40여년 만에 국민소득은 250, 수출액은 3천배가 된 것입니다
.

1968
년 처음으로 미국의 자동차를 가져다가 조립했던 한국이 지금은 세계 5위의 자동차 생산국이 되었고, 미국에서도 한국산 자동차를 보는 일이 이제는 흔한 일이 되어 있습니다.

한국의 핸드폰은 세계적인 명품이 되어있고, 컴퓨터와 반도체 부문에서 세계 시장을 지배하고 있습니다.

일본, 중국과 아시아 각국에서 한국의 드라마와 영화가 헐리우드 영화와 같은 대접을 받고 있고, 한국의 음반들이 아시아 시장에서 상종가를 기록하고 있습니다.
가난한 나라, 희망이 없던 나라가 기적을 이룬 것입니다
.

제가 자랑스럽게 생각하는 대한민국의 역사는 또 있습니다.

산업화를 압축적으로 진행해서 어느 정도 먹고 사는 문제가 해결된 1980년대 후반부터는 민주화가 놀라운 속도로 발전했습니다.

민주주의의 가치를 실현하기 위해 노력하신 수많은 분들의 용기와 희생에 저는 깊은 경의를 표합니다. 이 분들의 희생 덕분에 오늘날 한국의 민주주의가 꽃을 피우게 된 것입니다.

이렇게 해서 대한민국은 20세기 후반 산업화와 민주화를 함께 달성한 유일한 나라가 되었습니다.

세계인들은 이런 대한민국의 역사를한강의 기적이라고 부르고 있습니다.

그러나 대한민국 국민들은 이것을기적이라고만 생각하지 않습니다.
그런 성취의 역사를 만들기 위해 한국인들은 세계 어느 나라의 국민들보다 많은 땀을 흘려야 했고, 많은 눈물을 쏟아야 했습니다
.

그러나 우리가 단지 우리만의 노력으로 이런 기적을 일군 것은 아니라는 사실도 한국인들은 잘 알고 있습니다.
우리가 여기까지 올 수 있도록 도운 좋은 친구들이 있었습니다
.
바로 미국은 그 친구들 가운데에서도 가장 가깝고 좋은 친구였습니다
.
친구를 넘어 피를 나눈 형제와 같은 존재였습니다
.

저는 오늘 Harvard 대학에 와서 교내 추모교회를 둘러보았습니다.
그 곳에서 이 대학 출신의 젊은이들이 한국전쟁에 나가 전사한 명단이 새겨진 것을 보았습니다
.
오늘날 한국이 누리는 자유와 번영은 바로 여러분의 선배들께서 흘린 피로 이루어진 것입니다
.

이 자리를 빌어서, 우리의 성장을 함께 해 온 미국민 여러분께 깊이 감사드립니다.


그러나 산업화와 민주화를 넘어 일류 선진국을 건설하겠다는 한국인들의 꿈은 아직 채워지지 않았습니다. 더 풍요롭고, 더 정의롭고, 더 안전한 나라 그리고 국제평화와 번영을 위해 기여하는 나라를 건설하는 것이야말로 저를 포함한 모든 한국인들이 간절히 소망하는 대한민국의 미래입니다.
그리고 그 길을 가기 위해서 반드시 필요한 것 가운데 하나가 바로 한미동맹의 든든한 확립이라고 저는 생각합니다
.

최근 미국을 바라보는 한국인들의 시각이 과거와 달라진 것에 대해 실망하고 섭섭해하는 미국민들이 있다는 사실을 잘 알고 있습니다.

그러나 저는 여러분께서 이러한 상황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먼저 지금 한국사회가 겪고 있는 심각한 진통을 이해해야 한다는 것을 말씀드리려고 합니다.

어느 사회를 막론하고 발전과정의 진통은 피할 수 없는 일이지만, 지금 한국이 겪고 있는 진통은 한국의 역사에 기인한 한국적 특수성을 갖고 있습니다.

그 진통 속에는 몇 가지 중요한 對比 있습니다.
자유냐 평등이냐, 성장이냐 복지냐, 시장이냐 국가냐
,
작은 정부냐 큰 정부냐 같은 대립이 있습니다
.
그리고, 과거냐 미래냐, 민족공조냐 한미공조냐, 반미냐 친미냐
,
자주냐 외세냐 같은 대립도 있습니다
.
이런 대립으로 한국 사회는 지금 혼란과 정체에 빠져 있습니다
.

물론 이러한 문제는 어느 나라에서나 발견되는 이념적 대립이라고 생각할 수도 있습니다.

그러나 같은 민족끼리 남과 북으로 갈라져 아직도 휴전 상태에 있는 특수한 상황에서 북한이라는 현실의 존재가 한국사회의 이러한 갈등을 더 심각하게 만들고 있습니다.

북한 정권의 핵실험과 인권탄압은 분명 제거되어야 할 대상이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그들 역시 지구상에 존재하는 유일한 핏줄이라는 사실에 한국인들의 고민이 있는 것입니다.

그러나 저는 이런 갈등의 현장에서 대한민국 건국의 아버지들이 선택한 우리 헌법의 가치를 상기해야 한다고 믿습니다.
그것은 민주주의와 시장경제에 대한 확고한 신념입니다
.
이 신념은 오늘의 대한민국이 다시 선택해야 할 길이기도 합니다
.

한국이 가야 할 길은 분명합니다.
민주주의와 시장경제를 더욱 발전시켜야 합니다
.
법치주의를 확립하고, 노사관계에 원칙을 바로 세워야 합니다
.
결과의 평등이 아니라 기회의 평등을 목표로 자유를 확대해야 합니다
.
성장의 토대 위에 복지가 이루어지는 구조를 만들어 커가면서 나누는 따뜻한 공동체를 만들어야 합니다
.

한국이 걸어가야 할 외교적 입장도 명확합니다.
자주냐 외세냐의 이분법이 아니라 국가이익을 생각하는 실리외교를 펴야 합니다
.
한미동맹도 21세기에 맞게 더욱 성숙시키고 발전시켜 나가야 할 것입니다
.

양국이 함께 성장하고 발전하는 경제적 파트너로, 자유민주주의를 함께 지켜가고, 동북아시아와 더 나아가 세계 평화에 함께 기여하는 안보의 동반자로 자리 잡아 나가야 합니다.

저에게 주어진 역사적 사명이 이것이라고 생각합니다.
그 길에 저의 최선을 다할 것입니다
.


존경하는 Harvard 대학의 교수님과 학생 여러분,
저는 이제 여러분께, 우리 한국과 미국 앞에 던져진 시급한 두 가지 과제에 대한 저의 생각을 말씀드리려고 합니다
.

먼저 그 동안 한국과 미국을 굳게 묶어온 안보동맹의 미래에 대한 과제입니다.

지금 한국은 북한이 던지고 있는 심각한 안보적 도전에 직면해 있습니다.
1950
년 한국전쟁이 첫 번째 위기라면, 지금은 두 번째 안보적인 위기라고 생각합니다
.

한국전쟁 이래 북한은 여러 형태의 무력적 도발을 지속해 왔습니다.
청와대를 습격했고, 해외에서 우리 대통령에 대한 폭탄 테러를 자행했으며, KAL기 폭파, 서해 교전 등 북한이 자행한 대남 폭력도발 행위의 리스트는 실로 깁니다
.

저의 어머니께서도 북한의 사주를 받은 사람의 총탄에 돌아가셨습니다.
그 때 제 나이 겨우 22살에 퍼스트레이디를 대행해야 했습니다
.

하지만 지금처럼 북한이 핵무장을 하지는 않았습니다.
2006
10 9일 단행한 북한의 핵 실험으로 한반도 안보는 이제 새로운 국면으로 접어들었습니다
.

이제 한국의 미래는 핵무기로 무장한 북한의 안보 위협을 어떻게 성공적으로 억지하고 대처해서 한국의 지속적 발전에 기초가 되는 평화와 안정을 확보하느냐에 달려 있습니다.
현재 북한 핵문제 해결을 위해 기본적으로 4가지 Key가 동원되고 있습니다
.
6자회담, 유엔 안보리 제제와 PSI, 미북 접촉, 그리고 남북 대화입니다
.

현재 각 Key들이 각 Key별로 나름대로 역할을 하고 있고 일부 진전도 이루어지고 있습니다.

하지만 저는 북한 핵이라는 단단히 잠긴 문을 열려면 이 요소들을 모두 통합하여 실질적 진전이 이루어지도록 접근해야 한다고 믿습니다.

그렇게 하기 위해서는 어떤 경우에도 북한 핵은 용납될 수 없다는 국제 사회의 강력한 의지가 유지되어야 하고 이 점이 차질 없이 북한에 일관되게 전달되어야 할 것입니다.

북한 핵실험은 결코 ‘Business as usual’로 대처할 수 있는 사안이 아닙니다.
6
자회담이 재개되고 있고 미북간 접촉도 성과가 있다고 보도되고 있지만 앞으로 더욱 힘들고 어려운 협상 과정을 각오해야 할 것입니다
.
북한에게 국제 사회의 강한 의지를 한 목소리로 전달해야 하고 한국 정부도 유엔 안보리 제제 조치와 PSI 조치에 적극 동참해야 합니다
.

그리고 저는 4가지 Key 외에 북핵 해결을 위해 결정적 중요성을 갖는 또 하나의 Key가 있다고 생각합니다.
그것이 바로 한미동맹이라는 Key입니다
.
한미 군사 동맹은 지난 1953년 한미 상호 방위 조약이 체결된 이래 한반도의 평화와 안정을 성공적으로 유지해온 한국 안보의 근간이었습니다
.
한국인들은 이를 바탕으로오늘의 한국이라는 기적을 일구어 냈습니다
.
그렇게 한미 동맹은 가장 성공적인 그 효용성이 오랜 세월을 통해 입증된 군사 동맹 Formula인 것입니다
.

최근 들어 안타깝게도 한미 동맹이 약화되고 있는 징후가 보이고, 상호신뢰에 손상을 끼치는 사례도 일부 증가되고 있습니다.
심지어 한미 관계를 이혼 직전의 부부관계라는 비유마저 등장하고 있습니다
.
이는 한미 양국 국가 이익을 위해서도 매우 불행한 일이 아닐 수 없습니다
.

그러나 저는 앞으로 한미 동맹의 미래를 결코 비관하지 않습니다.
그 이유는 한미 동맹이 그간 한미 양국의 국가 이익에 훌륭히 봉사해 왔고, 동북아의 평화 증진에도 기여하고 있음을 기억하는 양국민이 훨씬 더 많기 때문입니다
.
이러한 측면에서 대한민국 국민도 미국 국민도 더 이상의 동맹 파괴 행위를 용납하지 않을 것이라고 저는 확신하고 있습니다
.

둘째로 우리 앞에는 한미 FTA라는 과제가 기다리고 있습니다.

저는 현재 진행중인 한미 FTA 협상이 성공적으로 매듭지어지면, 이것이 한미관계의 미래를 획기적으로 진전시키는 큰 걸음이 될 것이라고 확신하고 있습니다.
한미 FTA는 한미 양국이 성장과 발전을 공유하고, 한국민과 미국민 모두에게 더 큰 이익을 주는 방향으로 나가야만 합니다
.

그렇기 때문에, 100%에게 만족과 이익을 줄 수는 없다고 해도, 최소한 양국 어느 쪽이라도 돌이킬 수 없는 피해를 입는 국민이 있어서는 안 된다는 것이 저의 생각입니다.
만약 그런 일이 벌어진다면 실제로 양국의 이익에 부합하지 않을 뿐 아니라, 심할 경우 한미관계의 후퇴를 가져올 수도 있습니다
.

예를 들어 말씀드리자면, 한국의 농업은 미국의 농업과 상당히 다른 특징을 가지고 있습니다.
미국에서 생각하는 산업적인 측면만을 가지고 한국 농업, 특히 쌀시장의 개방을 요구한다면, 한국민들의 동의를 얻어내기가 상당히 어려울 수밖에 없습니다
.

저는 한미 FTA 협상이 차분하게 진행을 해서, 이것이 진정으로 한미 양국 관계 진전에 큰 역할을 하기를 기대합니다.


신사 숙녀 여러분,

저는 일생을 시련 속에 살아왔다고 해도 과언이 아닙니다.
어머니께서 총탄에 돌아가셨을 때, 저는 지구 반대편 프랑스에서 유학중이었습니다
.
어머니의 마지막 순간조차 함께 하지 못했습니다
.
슬퍼할 겨를도 없이 그 자리를 메우기 위해 퍼스트레이디의 역할을 해야만 했습니다
.

그런데 몇 년 되지 않아서 다시 아버지까지 또 그렇게 보내드려야 했습니다.
정말 숨쉬는 것조차 고통스럽게 느껴졌던 시간이었습니다
.
누구나 살면서 서로 다른 종류의 시련을 겪습니다
.
그리고 누구나 자기가 겪는 시련이 가장 가혹하다고 생각합니다
.
저도 마찬가지였습니다
.
그래서평범한 가족에서 태어났더라면이라는 제목의 수필집까지 냈습니다
.
그런데 그 책도 많이 팔리지 않았습니다
.
그것도 저에게는 시련이었습니다
.

이렇게 시련 속에 살아온 저를 정치로 불러들인 것은, 다름아닌 조국이 겪는 시련이었습니다.

청와대를 나와 18년간 소시민으로 살았던 저는 10년 전 IMF 사태로 조국 대한민국이 무너져 가는 모습을 보면서 나 혼자 편하게 살아갈 수 없다는 생각으로 정치를 시작했습니다.

금년 12월에 있을 한국의 대통령선거를 저는역사적 선거라고 말합니다.

이 선거는 대한민국이 이대로 주저앉느냐 아니면 다시 일어서느냐를 결정하는 선거이기 때문입니다. 또한 이번 선거는 한미동맹의 운명이 걸린 선거이기도 합니다.

저는 아무리 시간이 흐르고 세상이 변해도 한국과 한국인들은 한국전쟁에서 소중한 목숨을 희생한 미국의 젊은이들을 결코 잊어선 안된다고 생각합니다.

한국 정부의 부총리를 지내셨던 이한빈씨는 한국전쟁 당시 Harvard Business School의 유학생이었습니다.
그 분은 고국에서 전쟁이 발발하자 공부를 중단하고 맥아더 사령관에게 귀국하는 비행기편을 부탁해서 통역관으로 전쟁에 참여했습니다
.
한국과 미국 사이에는 이와 같은 아름다운 인연이 수없이 많습니다
.

한국과 미국 사이에는자유진리정의라는 공통의 가치관이 있습니다.
그리고 이 공통의 가치관을 피와 땀과 눈물로 함께 지켜온 50년의 역사가 있습니다
.

저에게 기회가 주어진다면 저는 미국과 진솔한 대화를 통해 한미동맹의 미래를 설계해 나갈 것입니다.

이를 통해 한미동맹이 앞으로 또 다른 50년 아니 100년을 지속할 수 있는 확고한 기반을 마련할 것입니다.
동맹의 미래에 대한 비전을 제시하고 국민을 설득하고 리더십을 발휘할 것입니다
.

저의 목표는 단지 하나입니다.
위기의 조국을 구하는 것입니다
.
(I'm in to save my country.)

경청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The Republic of Korea and the United States: Our Future Together
An Address Delivered at the ARCO Forum, Harvard Kennedy School


Director Bill White of the Harvard’s Institute of Politics, Director David McCann of Harvard University’s Korean Studies, Director Anthony Saich of the Harvard University Asia Center, distinguished guests, and ladies and gentlemen,

It is a great honor for me to share my thoughts today with the professors and students of world-renowned Harvard University.

Harvard’s ties with Korea go back a long way. Dr. Syngman Rhee, the first president of the Republic of Korea, studied history here at Harvard and the first Korean UN Secretary-General Ban Ki-moon received an MPA from this very Kennedy School of Government.

There are also several Harvard alumni representing the Grand National Party in the Korean National Assembly, three of whom are graduates of the Kennedy School. They are indispensable to our party and two of them even have the same surname as me.

Back in 1961 my father had a summit with then-President John F. Kennedy at the White House. It was a very unlikely meeting between the leader of the world’s greatest superpower and the president of one of Asia’s poorest nations with less than 100 dollars in per capita income at the time, but two of them had one thing in common ? their firm belief in the triumph of free democracy against communism. More than 45 years later the daughter of that Korean president came to visit the Kennedy School amid the new security threats challenging my country.

Koreans believe that all encounters, even the one as trivial as brushing each other’s sleeves on the street, originate from the ties that existed in our former lives. This belief shows how cherished we Koreans think of human encounters and relationship. In that respect, we are practically a family here, because I can sense a good rapport building with everyone here today and with Harvard and the Kennedy School.


Ladies and gentlemen,
I’d like to speak to you about the future our two countries are to share.

As a daughter of Korea, I’m proud of the past 60 years of Korean history. The nation suffered the devastations of war and the ensuing division of the Korean Peninsula. The Korean War destroyed the entire country and left millions dead or injured. But Korean people have risen above the tragedy.

The per capita income of Korea in 1961 was a meager 82 dollars, but now Korea is projected to break the 20 thousand dollar mark this year. Korea’s export rested at around 100 million dollars in 1964 but it has soared to top 300 billion dollars last year. In a mere span of four decades, per capita income grew by 250 times and export by 3,000 times.

Back in 1968 Korea was capable of only assembling imported automobile parts from the United States, but today Korea is the fifth largest automaker in the world. Nowadays it is not that hard to spot Korean-made cars on the streets of America.

Mobile phones made in Korea have become the most sought-after items around the world and Korean computer and semiconductor manufacturers are dominating the global market.

In Japan and China, Korean films and dramas rival Hollywood movies in popularity and albums of Korean singers climb to the top the music charts and break sales records in the Asian market.

A poor and hopeless nation in Asia has performed a miracle.

Korea has something else I’m proud of. Democratization movement was launched in the late 1980s when the nation’s accelerated industrialization freed people from the burdens of making the ends meet.

My highest respect goes to the countless people who worked up the courage and sacrificed themselves during the struggle to realize democratic values. Democracy would not have flourished in Korea like now if it had not been for their sacrifices.

Such phenomenal achievements of Korea were called “miracle on the Han River.” But Koreans do not think of this as only a miracle. What you see as a miracle today is also a deserving result of Korean people’s hard work and indomitable spirit.

However, Koreans are well aware that we were not alone in accomplishing such incredible feats. We had good friends who supported us during the hard times. America was one such friend, the closest and most supportive one. Actually America was more like a brother than a friend.

Today I had an opportunity to drop by a memorial chapel in the campus. There I saw a list of names engraved on a plaque. Those were the names of Harvard students who died fighting in the Korean War. The freedom and prosperity enjoyed by the Korean people today was gained through the blood shed by your brave alumni.

I would like to take this opportunity to thank the American people who lent us a helping hand during Korea’s growth.


Nonetheless, Korea’s dream of building a truly great nation has not been realized yet. Korean people and I dream of a future for our nation ? a future in which we build a country that is more prosperous, more just, safer, and contributes more toward international peace and prosperity. And I think reestablishing a new Korea-U.S. relationship is one of the requirements needed to realize that future.

I’m well aware that some Americans are disappointed over Koreans’ changed views of America. However, I want to tell you that, in order for you to understand the changes in public sentiment, you must understand the gravity of the pain that Korea is experiencing. No country can be free from the growing pain, but the pain gripping my country is unique to Korea, originating from the nation’s past.

This pain appears to emanate from some key contrasts in society ? liberty versus equality, growth versus welfare, market versus the state, small government versus large government, past versus future, inter-Korean alliance versus Korea-U.S. alliance, pro-America versus anti-America, and autonomy versus dependence. Such contrasts have plunged the Korean society into chaos and stagnation.

Of course, some may think that these issues are ideological confrontations also observed in many other nations around the world.

However, conflicts in Korea have been exacerbated by the presence of North Korea and the special circumstances of the Korean Peninsula remaining divided and technically still at war under the armistice pact.

Although the nuclear test and human rights violation of the North Korean regime should be denounced and eradicated, South Koreans agonize over the fact that North Koreans are of the same blood and still our brothers.

In the midst of such conflicts, it is my belief that we must be reminded of the values in the Korean Constitution championed by the founding fathers of the Republic of Korea. Those values are unshakable faith in democracy and market economy. This faith is what the Korean people should have today.

It is clear where Korea should be headed ? the nation should further nurture democracy and market economy. Rule of law should be established and labor relations guided by sound principles. Freedom should be expanded to give equal opportunities, not equal results. The social structure should have a strong welfare system propped up by the solid foundation of growth, which would bring about a caring and sharing community.

It is also clear where Korea should be headed in foreign affairs - the nation should engage in practical diplomacy that serves national interest instead of judging everything by the dichotomous yardstick of independence or dependence. The Korea-U.S. alliance should also mature in a way that befits the 21st century.

Our two countries should become economic partners that grow and prosper together, as well as security allies who safeguard free democracy and contribute toward peace in Northeast Asia and the world.

It is my life mission to guide the nation toward the right direction. I will do my best to carry out this mission.


Professors and students of Harvard,

I now wish to speak on two urgent issues facing Korea and the United States. The first issue concerns the future of security alliance between South Korea and the United States.

South Korea is facing grave security challenges from North Korea. If the Korean War in 1950 was the first crisis, the situation we are in right now can be considered as the second security crisis.

Since the Korean War, North Korea has undertaken a number of violent provocations. North Korea sent armed spies to attack the presidential Blue House in Seoul, carried out a bombing attack against a South Korean president and his entourage in a foreign country, blew up a Korean Air passenger plane, instigated a fatal naval clash in 2002 that left six South Korean sailors dead, and the list goes on. My mother was shot to death by a North Korean agent in 1974. I was only 22 years old when I was thrust in to fill my mother’s place as the First Lady.

But even then North Korea was not armed with nuclear weapons like now. The nuclear test conducted on October 9th, 2006 hurled Korean security to a dangerously unfamiliar terrain.

Now the future of South Korea hinges on how we can successfully deter the security threats from a nuclear North Korea and secure peace and stability to power Korea’s sustained growth.

At present four basic keys are mobilized to resolve the North Korean nuclear issue ? six-nation nuclear talks, UN Security Council sanctions, U.S.-North Korea bilateral meetings, and inter-Korean talks.

Each one of these keys is fulfilling its given role and making progresses. However, in order to open the tightly closed door to a nuclear North, all these keys must work together and approach the issue with a practical aim.

To do so, the international community should be strongly committed to maintaining the attitude of zero tolerance to North Korean nuclear arms and deliver this message in a consistent and precise manner.

The North Korean nuclear test is not a matter that can be responded with a “business as usual” attitude. Media reports that some progresses have been made at the U.S.-North Korea bilateral meetings prior to the six-party nuclear talks, but we must brace for more difficult negotiations that surely lie ahead.

The strong resolve of the international community should be delivered to North Korea in unison and the Korean government should take active part in the UN Security Council sanctions and the PSI.

In addition to the four keys I mentioned above, I believe there is one more key that is crucial to resolving the North Korean nuclear issue and that is none other than the alliance between the Republic of Korea and the United States.

The military alliance between our two countries has been the cornerstone of Korean security. It has successfully maintained peace and stability on the Korean Peninsula since the Mutual Defense Treaty between South Korea and the U.S. was concluded in 1953. This pact is what allowed Koreans to perform the economic miracle. The ROK-US alliance is a military alliance formula the effectiveness of which was tested over a long period of time.

Unfortunately, however, the bilateral alliance has shown signs of weakening and the number of incidents that erode mutual trust has increased in recent year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two countries has been likened to that of a married couple on the verge of divorce. This is very unfortunate for the national interests of both our countries.

Nonetheless, I am not pessimistic about the future of the Korea-U.S. alliance. That is because the alliance has vigorously promoted the national interests of the two countries and there are more Koreans and Americans who remember the alliance’s contribution to the promotion of peace in the Northeast Asian region. This is why I firmly believe that the peoples of South Korea and the U.S. will no longer tolerate actions that undermine the alliance.

The second issue that critically affects the future Korea-U.S. ties is the ongoing free trade agreement talks between the two countries. When this FTA negotiation comes to a successful conclusion, I trust that it will further strengthen the future ties between our two nations.

Therefore, the Korea-U.S. FTA should seek to bring shared growth and development and greater benefits to the peoples of both countries. It is my belief that, although the agreement cannot satisfy and benefit everyone, at the least it should not inflict irrevocable harm to the peoples of our two countries. Otherwise, the FTA would not only undermine the interests of both Korea and the U.S. but, in the worst case scenario, seriously impair the bilateral relations.

For instance, the Korean agricultural industry is vastly different in its characteristics and implications from that of America. It would be extremely difficult to gain the consensus of the Korean public if America demands the liberalization of the Korean agricultural sector, especially the rice market, based only on commercial intentions.

I believe the Korea-U.S. FTA negotiations should progress in a way that would greatly promote the bilateral ties.


Ladies and gentlemen,
My life has been full of heartbreaking ordeals. At the time of my mother’s death, I was studying half way around the world in France. I couldn’t even make it back to Korea in time to see her during her last hours. But instead of being given the time to grieve for my mother, I was rushed to fill the vacant position of the First Lady.

Only a few years later, I had to see my father pass away in the same manner. It was so painful for me at the time that it hurt to simply breathe. Everyone suffers one sort of trial or another during one’s lifetime and tends to think one’s hardship is the most unbearable one. I was that way, too. I even published an essay entitled “If I Was Born in an Ordinary Family” to tell the world how hard my life was. Well, it didn’t sell. That was another painful ordeal for me.

But what brought me out of that misery and compelled me to go into politics was the hardship that hit my country.

I lived 18 years as an ordinary citizen after I left the presidential Blue House upon my father’s death. But 10 years ago I saw my country slowly falling apart from the fallouts of the worst financial crisis in the nation’s history. That’s when I started my political career, determined to live my life not for myself, but for Korean people.

I call the upcoming Korean presidential election in December as a “historic” one. This election will determine whether Korea will slide back into oblivion or take a giant step toward a better future. The fate of the Korea-U.S. alliance also hinges on this presidential race.

Despite the passage of time and changes in the world environment, Korea and its people should never forget the noble sacrifices made by young Americans during the Korean War.

Former Korean Prime Minister Han-bin Lee was studying at the Harvard Business School when the Korean War broke out. When he heard about the war, he left school to ask General Douglas McArthur to fly him home and then went on to work as an interpreter for American officers. There are numerous stories such as this one testifying to the strong, heart-warming ties between our two countries.

The Republic of Korea and the United States share common values ? freedom, truth, and justice. Between us we have 50 years of protecting these common values with our blood, sweat, and tears.

If given a chance, I will design a new future for the Korea-U.S. alliance through frank dialogues with America. I will set up a sturdy foundation that could sustain our bilateral alliance for another 50 or even 100 years. I will demonstrate my leadership by providing new visions for the future bilateral alliance and convincing the Korean people of a brighter future.

I have only one objective. I’m in to save my country.
Thank you very much for your time.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국책자문위원회 상임고문 임명장 관리자 2022.03.04 394
공지 윤석열 대통령 당선축하 광고 관리자 2022.03.17 358
22 대선 개표실황 중계 관전 -- file 관리자 2012.12.23 1884
21 새누리당 상징 로고 - 연합본부 제작 file 관리자 2012.05.17 4848
20 본부 신년 하례식-2012.1.10 file 관리자 2012.01.11 5344
19 한나라 위원회 결성식 참석 연합 임원 file 관리자 2011.07.22 4772
18 본부 분과 위원장 모임- 3월 2011 file 관리자 2011.03.31 4823
17 파나마 지부 회장 뉴욕 방문 file 관리자 2011.04.09 4964
16 본부 분과 위원장 모임- 3월 2011 file 관리자 2011.03.31 3722
15 뉴저지 지부 모임 file 이영애 2011.10.05 3264
14 한나라 N.Y. 위원회 창설 행사 참석 file 관리자 2011.07.23 3098
13 평창 동계올림픽 행사 file 관리자 2011.09.24 3433
12 서울 필경제 2 file 관리자 2012.05.17 5564
11 서울 필경제 회동 file 관리자 2012.05.17 6051
10 2012년 초- 박근혜 대표 -근하신년 전면광고- 전미주 27 개지 file 관리자 2012.01.02 5382
9 독도는 우리 땅 동해상에 있는 우리영토 ! file 관리자 2011.09.14 5256
8 2011년 박근혜 대표 근하 신년 전면 광고 - 전 미주 file 관리자 2011.04.09 5730
7 2008년 정초- 박근혜의원 - 신년인사 광고 - file 관리자 2011.09.24 3330
6 2007년- 한나라당 대선후보 경선 박근혜 지원 광고 file 관리자 2011.01.05 3883
5 트위터에 ‘여름나기 인증샷’ file 관리자 2010.08.25 3761
4 대구도시철도 1호선 연장 건설공사 기공식 file 관리자 2010.08.25 3753
3 눈물을 흘리는 박근혜 전 대표 file 관리자 2010.08.25 2706

COPYRIGHT 2017 PGH. ALL RIGHT RESERVED

Design by LOJE Corp.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나눔글꼴 설치 안내


이 PC에는 나눔글꼴이 설치되어 있지 않습니다.

이 사이트를 나눔글꼴로 보기 위해서는
나눔글꼴을 설치해야 합니다.

설치 취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