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BS통일방송연구 - 2011 통일의식조사 결과

2011.08.25 17:16

david 조회 수:1759

 
작성: 이상화 2011년 8월 25일 목요일 오후 2:38

▣ 조사 결과 요약

1. 북한의 정권과 집권세력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는가를 질문한 결과, ‘반감을 느낀다’는 응답이 61.6%로 가장 많았음(매우 반감 35.6% + 어느 정도 반감 26.0%). ‘그저 그렇다’는 중립적 입장은 28.8%였으며, ‘호감을 느낀다’는 응답은 9.6%였음(매우 호감 2.4% + 어느 정도 호감 7.2%).
▶ 2010년의 결과와 비교하면, 북한의 정권에 ‘반감을 느낀다’는 응답이 거의 비슷한 비율로 높게 나타났음.(2010년 61.8% → 2011년 61.6%).

2. 북한이 남한에 대해 어떤 상대라고 인식하는가에 대해서는 ‘경계 대상’(36.3%)이나 ‘적대 대상’(20.0%) 등 거리감을 느끼고 있다는 응답이 56.3%로 많았음. ‘협력 대상’(25.8%) 또는 ‘지원 대상’(13.2%)이라는 응답은 39.0%였음. 한편, ‘경쟁 대상’이라는 응답은 4.6%였음.

3. 북한에 대한 식량지원은 ‘무조건 지원’(10.9%)하기보다 ‘조건부로 지원’(64.6%)해야 한다는 응답이 많았음. 한편, ‘무조건 중단돼야 한다’는 응답은 24.5%였음.

4. 금강산 관광 사업도 ‘무조건 진행’(27.0%)하기보다 ‘조건부로 진행’(58.2%)해야 한다는 응답이 많았음. 한편, ‘무조건 중단돼야 한다’는 응답은 14.8%였음.

5. 통일문제에 대해서는 전체 응답자의 72.3%가 ‘관심을 갖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음(매우관심 23.4% + 대체로 관심 48.9%). ‘관심이 없다’는 응답은 27.7%였음(별로 관심 없음 25.6% + 전혀 관심 없음 2.1%).

6. 통일에 대한 인식은 ‘큰 부담만 없다면 통일이 되는 것이 좋다’(47.1%), ‘반드시 통일이 되어야 한다’(27.3%) 등 통일을 바라는 응답이 74.4%로 많았음. ‘교류협력을 하면서 공존상태 유지’(19.9%)나 ‘통일이 되지 않는 편이 더 낫다’(5.7%) 등 통일을 바라지 않는다고 인식하는 응답은 25.6%였음.
▶ 2010년의 결과와 비교하면, 통일에 대해 ‘되어야 한다’는 응답 비율이 ↑3.4%p로 소폭 증가하였음. (2010년 71.0% → 2011년 74.4%)

7. 통일에 대한 우려 사항으로 ‘남한 주민의 막대한 통일비용 부담’(45.9%)이 가장 많았음. 다음으로 ‘실업과 범죄 증가 등 사회적 혼란’(26.3%), ‘정치․군사적 혼란’(14.5%), ‘북한주민의 대량 남한 이주’(12.2%), ‘국제관계의 혼선’(1.2%) 등의 순임.

8. 통일을 위한 선결과제로는 ‘문화 교류 및 인적 교류’(26.3%)와 ‘남북간의 경제교류협력’(23.3%) 등이 근소한 차이로 응답이 높게 나타났음. 다음으로 ‘이산가족 왕래 및 고향방문’(20.8%), ‘남한의 경제성장’(13.3%), ‘군사적 신뢰 구축’(9.5%), ‘남북정상회담’(5.4%), ‘국가보안법 개정이나 폐지’(1.4%) 등의 순임.

9. 통일에 도움이 되는 국가에 대해서는 ‘도움이 되는 국가가 없다’는 응답이 39.7%로 가장 많았음. 다음으로 ‘중국’(27.1%)이 응답이 많았으며, ‘미국’(26.7%)이 그 뒤를 이었음. ‘일본’(3.0%), ‘러시아’(2.8%) 등은 응답이 적었음.
▶ 2010년의 결과와 비교하면, ‘도움이 되는 국가가 없다’는 응답이 비슷한 비율로 나타났음(2010년 40.3% → 2011년 39.7%). 한편, 통일에 도움이 되는 국가에 대해서는 2010년에는 ‘미국’(30.0%)이 가장 높았으며, 다음으로 ‘중국’(23.4%) 순이었으나, 올해는 ‘중국’(27.1%)과 ‘미국’(26.7%)이 비슷한 비율로 높게 나타났음.

10. 통일비용을 세금 형식으로 개인이 부담하는 것에 대해서는 전체 응답자의 52.5%가 비용을 부담할 의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음. ‘개인 부담을 할 수 없다’는 응답은 47.5%였음. 비용의 정도는 연소득의 ‘1% 미만’ (38.9%) > ‘1~5% 미만’(11.6%) > ‘5~10% 미만’(1.2%) > ‘10% 이상’ (0.7%) 등의 순으로 응답하였음.
▶ 2010년의 결과와 비교하면, ‘개인 부담을 할 수 있다’는 응답 비율이 ↓5.7%p 감소하였음(2010년 58.2% → 2011년 52.5%).

11. 통일에 대해서는 대다수의 응답자가 통일의 가능성을 염두에 두고 있었으며(‘가능하다’ 92.6%, ‘불가능하다’ 7.4%), 그 시기는 ‘11년~20년 이내’ (39.6%) > ‘21년~30년 이내’(18.9%) > ‘10년 이내’(18.5%) > ‘30년 이상’ (15.5%) > ‘불가능하다’(7.4%)등의 순임.
▶ 2010년의 결과와 비교하면, ‘통일이 가능하다’는 응답 비율이 ↑4.7%p로 증가하였음(2010년 87.9% → 2011년 92.6%). 통일 시기도 ‘20년 이내에 이뤄질 것이다’는 응답이 ↑5.1%p 증가하였음(2010년 53.0% → 2011년 58.1%).

12. 북핵문제에 대해서는 ‘해결이 어려울 것이다’가 54.5%로 많았음(당분간 해결이 어려움 50.9%+ 무력으로 해결 3.6%). ‘해결될 것이다’는 응답은 45.5%였음(쉽지는 않지만 해결 39.5% + 원만하게 해결 6.0%).

13. 북핵문제 해결의 돌파구로는 ‘북한의 우선적 핵 포기’가 35.1%로 가장 응답이 많았음. 다음으로 ‘중국의 적극적 중재 노력’(30.4%), ‘미국의 대북 적대시 정책 철회’(19.8%), ‘한국의 적극적 해결 노력’(14.7%) 등의 순임.
▶ 2010년의 결과와 비교하면, ‘북한 스스로가 핵을 포기해야 한다’는 응답 비율이 ↓7.3%p 감소하였음(2010년 42.4% → 2011년 35.1%). 반면, ‘중국의 적극적 중재 노력’은 ↑5.8%p로 소폭 증가하였음(2010년 24.6% → 2011년 30.4%).

14. 개성공단사업과 같은 남북한 경제협력에 대해서는 ‘소규모 경제협력도 연계해야 한다’는 응답이 39.3%로 가장 많았음. 다음으로 ‘북핵문제와 연계해서는 안 된다’는 36.9%였으며, ‘대규모의 경제협력만 연계해야 한다’는 23.9%였음.
▶ 2010년의 결과와 비교하면, ‘소규모 경제협력도 연계해야 한다’는 입장이 2010년 41.8%에서 2011년 39.3%로 소폭 감소하였으나(↓2.5%p) 유의미한 변화는 없는 것으로 나타났음.

15. 6.15 남북정상회담에 대해서는 ‘성과가 없다’는 응답이 63.7%였으며(별로 성과가 없다 53.6% + 전혀 성과가 없다 10.1%), ‘성과가 있다’는 응답은 36.3%였음(어느 정도 성과가 있다 30.9% + 매우 성과가 크다 5.4%).
▶ 2010년의 결과와 비교하면, 6.15 남북정상회담이 ‘성과가 없다’는 응답이 ↑6.4%p 증가하였음. (2010년 57.3% → 2011년 63.7%)

16. 현 정부의 대북정책에 대해서는 ‘찬성한다’는 응답이 52.6%였으며(적극 찬성 9.3% + 대체로 찬성 43.3%), ‘반대한다’는 응답은 47.4%였음(적극 반대 13.6% + 대체로 반대 33.8%). 한편, 현 정부의 대북 정책에 대한 평가는 노무현 정부의 대북정책보다 ‘못한다’(43.4%)는 평가가 많았음. ‘잘한다’는 응답은 33.9%였으며, ‘비슷하다’는 응답은 22.7%였음.
▶ 2010년의 결과와 비교하면, 현 정부의 대북정책에 ‘찬성한다’는 응답 비율이 ↑2.7%p로 소폭 증가하였으나 유의미한 차이는 없는 것으로 나타났음(2010년 49.9% → 2011년 52.6%).

17. 향후 남북교역을 천안함 사건과 연계해야 하는가에 대해서는 ‘소규모 남북교역도 연계해야 한다’는 응답이 43.6%로 가장 많았음. 다음으로 ‘대규모의 남북교역만 연계해야 한다’는 30.0%였음. ‘천안함 사건과 연계해서는 안 된다’는 26.4%였음.
▶ 2010년의 결과와 비교하면, ‘천안함 사건과 연계해서는 안 된다’는 응답이 ↓8.8%p 하락하였음(2010년 35.2% → 2011년 26.4%).
즉, 향후 남북교육을 천안함 사건과 연계해야 한다는 의견이 전년도에 비해 더 높아진 것으로 나타났음.

18. 최근 안보상황에 대해서는 전체 응답자의 84.7%가 ‘불안하다’고 답했음(매우 불안 23.3% + 약간 불안 61.4%). ‘전혀 불안하지 않다’는 응답은 15.3%였음.
▶ 2010년의 결과와 비교하면, 안보상황에 대해 ‘불안하다’는 응답이 ↑6.6%p 증가하였음(2010년 78.1% → 2011년 84.7%).

조사 대상
전국 19세 이상 성인 남녀
유효표본 1,024명
조사 방법
휴대전화 조사
표본 오차
95% 신뢰도 수준에서 ±3.1%
조사 기간
조사 기간: 2011년 8월 10일(수)
조사 기관
기 획: KBS 남북협력기획단
보고서 작성: KBS 방송문화연구소
실사(實査): 엠비존(Mbizon)

공유하기

회원:
4
새 글:
0
등록일:
2010.08.19

지 부 연 락 처

공동 회장:조선환
연락처:213-703-2211
Email:sunnycho@gmail.com


공동 회장: 박남수
연락처:213-247-9116 Email:canontex@aol.com


상임 위원 :최영태
연락처:714-998-3757
Email:choyhenry2002@yahoo.co.kr


사무 총장 :류기상
Email: frankgsryu@hotmail.com
전화:949-398-7316